ETN vs ETF

ETN과 ETF의 공통점

ETN은 기초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상품으로 ETF와 유사한 경제적 실질을 가지며, 두 상품 모두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됩니다.

etn(상장지수증권), etf(상장지수펀드) 둘 다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 됨 etn(상장지수증권), etf(상장지수펀드) 둘 다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 됨

ETN과 ETF의 차이점

ETN과 ETF는 만기, 발행주체, 상품구조, 자산운용 등에서 차이점을 보이며, ETF로 제공하기 어렵거나 높은 비용이 발생하는 상품을 ETN을 통하여 투자자에게 제공 가능합니다.

etn: 증권사 신용발행, 만기있음, 발행자 신용위험, 재량적 자산운용
								etf: 자산운용사 발행, 만기없음, 발행자 신용위험 없음, 자산운용 제한 etn: 증권사 신용발행, 만기있음, 발행자 신용위험, 재량적 자산운용
								etf: 자산운용사 발행, 만기없음, 발행자 신용위험 없음, 자산운용 제한

ETN과 ETF 비교

ETN과 ETF 비교 | 구분, ETN, ETF로 구성
구분 ETN ETF
법적
구분
파생결합증권 집합투자증권
발행
주체
증권사 자산운용사
신용
위험
있음 없음
만기 1 ~ 20년 없음
구성
종목수
국내형 :
5종목 이상
해외형 :
3종목 이상
10종목 이상
자산
운용
제한
없음(운용재량) 있음(운용제약)
  • 투자자는 금융투자상품(ETN)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, 투자 전 상품설명서 및 약관을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.
  • ETN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.
  • 본 상품은 자산가격 변동,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(0~100%)이 발생할 수 있으며,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.
  • 본 상품은 기초지수 구성종목의 가격에 연계해 증권의 수익률이 결정되므로 투자결정 시 기초자산의 성격 및 과거 가격 추이, 기초자산 관련 경영환경 변화 등에 따른 권리변경
    가능성 등을 충분히 감안하시기 바랍니다.
  • 발행인의 신용상태에 따라 투자원금이 보호되지 않을 수 있는 신용위험이 있으므로 발행인의 재무현황 및 신용등급(메리츠증권 신용등급 AA- 한국신용평가 2024년 04월 12일 기준,
    AA- NICE신용평가2024년 04월 12일 기준) 등을 파악하고 투자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.
  • ETN은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상품으로 거래소 상장 규정에 따라 상장폐지될 수 있습니다. 투자자가 투자금 회수를 위해 발행인에게 중도상환을 요청할 시 상환비용이
    발생할 수 있으므로, 투자자에게 지급되는 금액은 원금에 미달할 수 있습니다. 중도상환절차 및 상환가격 결정방법 등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  • 과세기준 및 과세방법은 향후 법령 개정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.
  •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한 ETN, 기초지수 및 지표가치 등의 과거 성과는 제비용, 세금, 증권거래수수료 등으로 인해 실제 성과와 다를 수 있으며, 과거 수익이 미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.
  • ETN 거래수수료는 거래 증권사에 따라 상이합니다. 거래수수료와 관련한 사항은 거래 증권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  • 외화자산의 경우 환율변동에 따라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ETN의 총보수는 상품별로 상이(0.03%~0.75%)하며,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및 투자설명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